
교육과정
열린 미래 꿈이있는 대학,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목표
산업경영공학은 인간, 물자, 설비, 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산업사회의 총체적인 시스템을 대상으로 과학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설계 분석하고 효율적으로 운영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데 이바지 하는 학문이다. 산업경영공학과에서는 산업현장과 연구소 교육기관에서 요구되는 제반 관련 이론 및 최신의 기법들을 교수, 연구하여 경영과학, 생산공학, 인간공학, 품질공학, 품질경영, 컴퓨터 응용 등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가진 고급기술인의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학과내규
입학에 관련된 사항
본 대학원 입학규정에 따라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나누어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특별전형 및 일반전형의 선발비율은 학과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교과과정운영에 관한 사항
- 전공영역과 이수학점:석사과정은 산업시스템공학전공, 박사과정은 생산및품질시스템 전공, OR및물류시스템 전공, 인간공학및안전시스템 전공의 3개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각 과정학생은 대학원 및 학과 내규상의 교과과정편성과 운영에 관한 지침에 따라 석사과정은 석사공통필수 2과목을 포함하여 26(논문연구 2학점 포함)학점, 박사과정은 각 전공별 필수과목을 포함하여 40(논문연구 4학점 포함)학점을 이수하되 석·박사과정을 통합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함을 원칙으로 한다.
- 전일제 및 시간제 학생 운영에 관한 내용:박사과정의 경우 시간제(part-time)학생과 전일제(full-time)학생으로 신분을 구분하고, 시간제학생에 대해서는 매학기 신청학점 및 종합시험 응시시기에 제한을 둘 수 있다.
- 보충과목의 이수
- 석사과정:타 학과 출신 학생중 본 대학교 대학원 산업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학과장이 지정하는 학부과정 과목중 9학점이내에서 보충과목으로 추가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박사과정:산업시스템공학 또는 이에 준하는 전공 이외의 석사학위를 취득했거나 또는 특수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가 본 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한 경우는 소정의 보충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학점인정 범위와 보충과목 선정은 입학수속을 마친 후에 학과책임교수가 한다.
- 지도교수 선정:지도교수의 선정은 학과교수들의 여건과 석사과정은 본인의 희망전공분야,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의 지도교수와 본인의 전공영역 등을 고려하여 학과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에 관한 사항
- 외국어시험 : 석· 박사과정 공히 시험을 시행한다.(박사과정의 제2외국어 과목은 제외)
- 종합시험
- 필수과목을 포함하여 소정의 학점을 전부 취득한 학생으로서 어학시험에 합격한 자는 전공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나 박사과정 학생은 전일제/시간제 학생에 관한 운영지침에 따라 종합시험의 최초 응시시기가 결정된다.
- 시험과목:종합시험 응시자의 수강과목 중에서 출제함을 원칙으로 하되, 출제 및 채점 교수는 학과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학위논문 제출 및 심사에 관한 사항
- 논문제출요건:다음 요건을 갖춘 자는 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 석사과정:4학기 등록을 필하고 소정의 학점을 취득하였으며, 졸업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 박사과정:대학원 학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규 학기 등록을 필하고 소정의 학점을 취득하였으며, 졸업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중에서 대학원 내규에 따른 논문실적이 있고, 아울러 아래와 같은 학과기준의 연구실적 요구율을 상회하는 자.
- 연구실적 기본 요구율은 200%이며, 학과의 석·박사과정 공동 세미나의 발표 및 참석율에 따라 학과 교수회의에서 결정된 추가 요구율을 부가한다.
- 연구실적은 국내외학회지와 국제학술회의에 게재 또는 발표한 것만 인정하며, 그 중에서 학과에서 인정하는 국내외 학회지에 한편 이상의 지도교수와의 단독 게재실적이 있어야 한다.
기타 학과운영에 필요한 사항
본 학과 내규에 따르되 본 학과 내규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학과 교수 회의에서 결정한다.
교과과정
석사공통필수
- 181101 OR특론(Advanced Operations Research) [3]
OR에 있어서 LP, 재고, 대기 및 게임이론의 실제적인 연구 - 181102 확률모형론(Probability Model) [3]
확률의 기본 이론을 이용한 산업공학의 수학적 모형화 방법 및 분석에 관한 연구
생산및품질시스템 전공
- 181201 생산시스템관리론(Production System Management) [3]
생산활동을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원리와 기법에 관한 연구 - 181202 생산계획특론(Advanced Production Planning) [3]
수요예측, 공수 및 일정계획, product mix, process mix 등의 고등문제를 연구 - 181203 실험계획특론(Advanced Experimental Design) [3]
공학적 실험계획을 위한 고급이론과 분석방법의 연구 - 181204 경제성공학특론(Advanced Engineering Economy) [3]
설비투자의 경제성평가와 투자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경제분석적 연구 - 181205 생산시스템의 컴퓨터응용(Computer Application in Production System) [3]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모의실험, Expert system 등을 연구 - 181206 자동생산시스템(CIM System) [3]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생산시스템의 최적 설계 및 운용에 관한 방법과 기법에 관한 연구 - 181207 산업프로젝트관리론(Industrial Project Management) [3]
산업프로젝트의 선정방법, 평가방법의 연구 - 181208 일정계획이론(Theory of Scheduling) [3]
작업배분계획, 작업순서 및 작업일정에 관한 연구 - 181209 프란트엔지니어링특론(Advanced Plant Engineering) [3]
설비의 계획, 설계, 배치 및 교체 등에 관한 연구 - 181210 고등제조공학(Advanced Manufacturing Engineering) [3]
생산 및 제조과정의 제반이론을 습득하여 생산, 공정설계 및 관리에 응용하는 연구 - 181211 산업용로보트및생산자동화(Industrial Robots and Production Automation) [3]
산업용로보트 설계 및 활용과 컴퓨터를 이용한 제반기법의 도입, 자동화 가능성 및 한계에 관한 연구 - 181212 생산시스템의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Production System) [3]
생산시스템의 최근에 발전된 분야를 선정하여 연구 - 181213 생산품질시스템세미나(Seminar in Production and Quality System) [3]
생산 및 품질시스템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과 이론을 발표·토론·연구 - 181214 신뢰성공학특론(Advanced Reliability Theory) [3]
고장원인분석과 신뢰성향상 및 평가방법과 관리에 관한 연구 - 181215 회귀및시계열분석(Regression and Time Series Analysis) [3]
공학자료처리 및 해석을 위한 회귀분석과 Box-Jenkins 모형 등을 이용한 시계열분석 등의 연구 - 181216 고등공업통계학(Advanced Engineering Statistics) [3]
고전 및 베이지안 추정 및 가설검정, 고급통계기법 등의 연구 - 181217 품질보증특론(Advanced Quality Assurance) [3]
품질보증원칙, QA 시스템 설계, 관리 및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 181218 샘플링검사특론(Advanced Sampling Inspection) [3]
샘플링검사의 이론적 연구 - 181219 공정능력특론(Advanced Process Capability) [3]
공정능력의 개념, 정량화 및 평가방법, 정보활용방법을 연구 - 181220 통계적품질관리특론(Special Statistical Quality Control) [3]
통계적 방법의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품질관리의 실제활동을 연구 - 181221 신뢰성공학의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Reliability Engineering) [3]
베이지안 신뢰도, 네트워크 신뢰도, 소프트웨어 신뢰도, 시스템 신뢰도의 최적화 등의 최근에 발전된 분야를 선정하여 연구 - 181222 품질경영특론(Advanced Quality Management) [3]
제품품질의 안정화 및 향상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연구 - 181223 품질공학의고등논제(Special Topics in Quality Engineering) [3]
통계적 공정관리, 특수샘플링검사, 다구찌 방법, 반응표면분석, 자동검사시스템 등의 최근 품질공학분야의 연구동향 - 181224 품질경영세미나(Seminar in Quality Management) [3]
품질경영분야의 최근 연구동햐오가 이론을 발표·토론·연구 - 181225 CAD/CAM시스템및NC가공(CAD/CAM System and NC Manufacturing) [3]
CAD/CAM의 원리 및 통합과 NC를 이용한 가공방법들에 관한 연구 - 181226 생산정보관리(Prod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3]
생산시스템에 발생하는 정보의 표현, 처리,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PDM, ERP, CALS 등의 최신 동향을 연구함 - 181227 제조시스템모형및분석(Modeling and Analysis of Manufacturing System) [3]
흐름라인, 조립라인, FMS 등의 제조시스템에 관한 수학적 모형화에 필요한 수법 및 최적화 방법에 관한 연구 - 181228 FMS의설계및운용(Design and Operation of FMS) [3]
유연생산시스템의 설계와 운용 정책 및 효율 분석에 관한 연구 - 181401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 [3]
선형계획법의 실제운영과 제반 응용기법을 연구 - 181402 MIS특론(Advance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
컴퓨터를 이용한 시스템의 관리, 운용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 및 정보처리 관계에 관한 연구 - 181403 정수계획법(Integer Programming) [3]
절단 평면법, 분기한계법 및 혼합정수법에 관한 연구 - 181404 데이터베이스관리론(Database Management) [3]
데이터베이스 체계기술, 응용프로그램 개발기술·체계분석에 관한 연구 - 181405 수치해석과컴퓨터응용특론(Advanced Numerical Analysis and Computer Application) [3]
컴퓨터를 이용한 방정식, 행렬계산, 미·적분 등 제반기법의 응용 및 해석에 관한 연구 - 181406 시스템공학특론(Advanced System Engineering) [3]
시스템 이론과 시스템 공학의 계량적 방법에 관한 연구 - 181407 비선형계획법(Nonlinear Programming) [3]
비선형계획법의 실제응용과 특수 비선형 기법의 연구 - 181408 추계적과정론(Stochastic Process) [3]
마르코프 과정, 포아송 과정, 재생이론 등과 응용에 관한 연구 - 181409 네트워크이론(Network Theory) [3]
최단경로, 최대유량 및 네트워크 최소화 등의 제반 문제에 관한 연구 - 181410 시뮬레이션특론(Simulation of Complex System) [3]
복잡한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링 방법, 결과자료처리, 새로운 전용언어에 관한 연구 - 181411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3]
동적계획법의 모형과 해결방법, 확률적 동적계획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 181412 의사결정분석론(Decision Analysis) [3]
주관적 확률, 효용함수평가, 경제적 정보수집 및 실험설계에 관한 연구 - 181413 게임이론(Game Theory) [3]
혼합전략, 행렬게임, 비협조 및 협조게임 등의 연구 - 181414 재고이론(Inventory Theory) [3]
확정적, 확률적 모형 등 관련 제반이론의 연구 - 181415 최적화이론(Optimization Theory) [3]
고전적 최적화 이론 및 최적 제어이론과 제반기법의 연구 - 181416 OR세미나(Seminar in Operations Research) [3]
OR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과 이론을 발표·토론·연구 - 181417 OR의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Operations Research) [3]
OR의 최근에 발전된 분야를 선정하여 연구 - 181418 퍼지이론(Fuzzy Theory) [3]
말의 의미와 개념의 정의에 나타날 수 있는 애매모호함을 다루는 방법론을 연구하며, 퍼지집합론, 퍼지논리 및 추론, 퍼지응용 등을 연구 - 181419 소프트시스템방법론(Soft System Methodology) [3]
실세계의 복잡한 상황들을 모델링하고, 이를 비수리적으로 해결해 낼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연구 - 181420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s) [3]
의사결정에 필요한 계량적인 기법이나 통계적인 기법을 컴퓨터에 저장하여 의사결정 대안들을 비교, 검토하거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기술을 연구 - 181421 정보시스템의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Information System) [3]
급변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최신 정보화 기술에 관한 연구 - 181422 정보통신및응용(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lication) [3]
무선호출기,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영상회의, 전자뱅킹에 이르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기술의 기본개념과 통신망을 통한 정보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을 연구 - 181423 물적유통시스템특론(Advance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3]
물적유통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시스템의 분석과 모형화 및 통합시스템으로서의 최적화 방안에 대한 연구 - 181424 지식정보처리 및 응용(Knowledge Information Process and Application) [3]
고도의 지적정보처리를 어떻게 컴퓨터상에서 구형하는가에 대하여 기초부분부터 해설하고, 특히 인공지능분야(학습, 뉴럴네트워크, 패턴인식 등)의 최근 동향을 연구 - 181425 물류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 for Logistics) [3]
물류의 원활한 흐름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응용에 관한 연구 - 181426 운송시스템공학(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3]
수송, 하역 등을 포함한 운송시스템의 분석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 - 181427 물류재고관리(Inventory Management for Logistics) [3]
효율적인 물류관리를 위한 다단계 재고관리에 관한 연구 - 181428 물류시스템의 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Logistics) [3]
통합물류시스템의 적용사례 및 최근 동향 연구 - 181429 SCM 특론(Special Issues on Supply Chain Management) [3]
SCM 구현에 필요한 SCP, CP, SCE의 요소 기술들을 파악하고 관련 연구 분야를 학습한다.
인간공학및안전시스템 전공
- 181501 인간공학특론(Advanced Human Factors Engineering) [3]
인간과 기계의 조화를 기초로 한 인간기능의 공학적 해석, 설비 및 장치의 설계 및 작업환경의 연구 - 181502 인간특성론(Human Performance) [3]
인간 감각기의 한계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억능력 등 인간 고유의 특성에 관한 연구 - 181503 안전공학특론(Advanced Safety Engineering) [3]
산업안전을 위한 재해의 특성 및 사고의 유형분석과 재해예방을 위한 제 이론과 응용에 관한 연구 - 181504 작업생리학(Work Physiology) [3]
작업과 환경변화에 따른 인체의 생리적 변화가 작업능률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을 분석 연구 - 181505 작업설계및측정론(Work Design and Measurement) [3]
최적 작업조건을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작업 수행도에 대한 측정과 평가를 위한 분석적 연구. - 181506 인체계측특론(Advanced Anthropometry) [3]
인체계측의 제 기법과 인체자료의 해석을 위한 비교 분석적 연구와 평가 - 181507 산업심리특론(Advanced Industrial Psychology) [3]
작업자의 심리적 특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와 평가 - 181508 신체역학(Biomechanics) [3]
인체 근골격계의 역학적 특징 해석과 모델링을 통한 인간-기계 시스템에의 응용에 관한 연구 - 181509 인간-기계시스템특론(Advanced Man-Machine System) [3]
인간-기계시스템의 정합성 평가 및 설계, 정보전달 시스템설계 등의 연구 - 181510 산업디자인특론(Advanced Industrial Design) [3]
인간공학적 개념의 산업디자인의 응용에 관한 연구 - 181511 인간신뢰성(Human Reliability) [3]
인간오류범실의 유형과 정량적 평가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181512 산업재해관리론(Industrial Safety Management) [3]
산업재해의 발생배경과 원인을 분석하고 환경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에 관한 평가와 산재관리를 위한 응용 연구 - 181513 인간공학세미나(Seminar in Ergonomics and Human Factors Engineering) [3]
인간공학분야의 최근 연구동향과 이론을 중심으로한 연구 및 토론 - 181514 노동과학특론(Advanced Labor Science) [3]
노동환경 및 노동강도가 노동력 향상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과 평가 - 181515 응용작업설계론(Applied Work Design) [3]
동작 및 시간연구를 기초로 한 작업관리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응용 연구 - 181516 인간공학의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Ergonomics and Human Factors Engineering) [3]
인간공학의 특정 관심분야를 선정하여 그간의 이론과 연구논문을 개괄하고 앞으로의 연구가능분야 및 논제를 축축해 내는 연구 - 181517 방호시스템론(Safeguarding System) [3]
보호구 및 방호 시스템의 평가, 작업, 동력전달, 설비보전에서의 재해 예방을 위한 방호 시스템의 설계 및 운용에 관한 연구 - 181518 산업보건위생론(Industrial Hygiene) [3]
인간-기계시스템에 발생하는 환경적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이러한 스트레스가 직업병, 인간의 수행도, 안전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연구 - 181519 제품안전공학(Product Safety Engineering) [3]
안전공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제품설계에 적용시킴으로서 제품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 - 181520 안전공학의특수논제(Special Topics in Safety Engineering) [3]
안전공학의 특정 분야를 선정하여 최근의 이론과 연구동향을 축출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검토하고자 함 - 181521 산업환경평가론(Evaluation of Industrial Environment) [3]
산업현장의 온도, 습도, 환기, 진동, 분진, 소음 등의 환경적 요인을 분석 평가하고, 최적의 산업환경 유지를 위한 연구 - 181522 감성공학특론(Advanced Human Sensibility Engineering) [3]
인간의 심상 혹은 감성(image)을 공학적으로 정량화하여 인간이 사용하는 제품 또는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적용하는 기법을 연구 - 181523 인간공학실험방법(Human Factors Research Methodology) [3]
인간공학 연구에 타당한 효율적인 실험계획의 방법론과 자료처리 및 실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방법론을 연구 - 181524 인지심리공학(Cognitive Psychology) [3]
심리학적 원칙들을 파악하여 공학적 시각에서 실제 작업에 응용하여 양립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연구 - 191525 고급인간공학실험(Advanced Ergonomic Laboratory) [3]
인간공학 관련 측정장비의 사용법 및 원리를 실험을 통해 학습하고 실제 실험에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연구 - 181526 조직행동특론(Advanced Organizational Behavior) [3]
조직내에서의 집단 및 개인행동에 관한 이론 및 실증적 배경을 연구
스마트공장운영설계 전공
- 141A26 품질경영세미나(Seminar in Quality Management) [3]
품질경영분야의 최근 연구동향과 이론을 발표·토론·연구 - 141A38 추계적과정론(Stochastic Process) [3]
마르코프 과정, 포아송 과정, 재생이론 등과 응용에 관한 연구 - 141A50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s) [3]
의사결정에 필요한 계량적인 기법이나 통계적인 기법을 컴퓨터에 저장하여 의사결정 대안들을 비교, 검토하거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기술을 연구 - 141B01 스마트공장개론(Introduction to Smart-factory) [3]
스마트 공장, 스마트 제조 개요 및 관련 기술 전반에 대하여 학습한다. - 141B02 스마트공장세미나(Seminar on Smart-factory) [3]
스마트공장 관련 국내외 기술 동향 및 응용 사례 등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및 발전 방안에 대해 토의한다. - 141B03 스마트공장IIoT시스템및실습(IIoT Embedded System and Practice in Smart-factory) [3]
산업용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데모공장을 이용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 141B04 스마트공장ICT융합생산시스템및실습(ICT Convergence and Practice in Smart-factory) [3]
전통적인 생산 시스템과 ICT 융합 생산 시스템의 차이를 이해하고, ICT 융합 생산 시스템의 구현에 필요한 요소 기술 및 구현 절차를 학습한다. - 141B05 산업응용통계및예측기법(Industrial Applied Statistics and Forecasting Method) [3]
데이터분석을위한 통계학적 이론 및 활용방안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함. - 141B06 스마트공장운영관리시스템(Smart-factory Operations Management System) [3]
스마트공장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 시스템의 기능과 역할, 도입 및 활용 방안 등에 대해 학습한다. - 141B07 인간-기계시스템설계(Human-Machine System Design) [3]
인간과 기계에게 각각의 역할과 기능이 주어지고 공통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유기적인 정보의 흐름 과정이 존재하는데이와 관련하여 공장이나 일상생활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환경을 설계하는 방법을 매우도록 함. - 141B08 소프트컴퓨팅응용(Soft Computing Application) [3]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 일정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조합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 컴퓨팅 기법들에 대해 학습한다. - 141B09 3D시뮬레이션기반공장운영관리(Operations Management based on 3D Simulation) [3]
실제 생산 현장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모델링 및 분석할 수 있는 3D 공장 시뮬레이션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 현장의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 141B10 품질공학및실험설계기술(Quality Engineering and Experimental Design) [3]
스마트공장의 품질향향을 위한 품질공학적 기술과 공정이해를 위한 실험설계 기술을 함양하고자 함. - 141B11 APS특론(Special Topics in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3]
APS의 개념 및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최적화 기법 및 유한능력 스케쥴링 시스템 등의 개발에 대해 학습한다. - 141B12 디지털영상처리(Digital Image Processing) [3]
디지털 영상처리는 컴퓨터가 영상 정보를 개선하는 것과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 처리를 다룬다. 이를 위해 시각 인지의 원리, 영상 변환(Image Transforms), 영상 향상(Image Enhancement), 영상 압축(Image Compression), 영상 분할(Image Segmentation) 등의 영상 기법들을 다룬다. - 141B09 3D시뮬레이션기반공장운영관리(Operations Management based on 3D Simulation) [3]
실제 생산 현장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모델링 및 분석할 수 있는 3D 공장 시뮬레이션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 현장의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 141B09 3D시뮬레이션기반공장운영관리(Operations Management based on 3D Simulation) [3]
실제 생산 현장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모델링 및 분석할 수 있는 3D 공장 시뮬레이션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 현장의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스마트공장융합 전공
- 141A30 로봇프로그래밍(Robot Programming) [3]
스마트공장에 사용되는 다양한 로봇의 동작원리와 작동법을 배우고 공장운영 소프트웨어와 로봇을 연계하는 기술 실습 - 141B31 스마트이미지센서시스템(Smart Image Sensor System) [3]
Image Sensor의 기본 개념과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노이즈 특성에 대해서 학습한다. 다양한 종류의 Image Sensor에 대해서 알아본 뒤, 스마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의 동향과 그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변화에 대해서 학습한다. - 141B32 실무R&D프로젝트1(R&D Project Practice 1) [3]
지도교수, 기업체 실무 책임자 등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실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 141B33 실무R&D프로젝트2(R&D Project Practice 2) [3]
지도교수, 기업체 실무 책임자 등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실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 141B34 스마트공장현장실습1(Smart-factory Internship 1) [3]
스마트공장 관련 기업체에서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무에 적용해 보면서 현장 적응 능력을 극대화한다. - 141B35 스마트공장현장실습2(Smart-factory Internship 2) [3]
스마트공장 관련 기업체에서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무에 적용해 보면서 현장 적응 능력을 극대화한다. - 141BB36 인공지능개론(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3]
제조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 및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모형 설계, 예측적 분석 기법, 기술적 분석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 141B37 저전력스마트통신(Low power smart communication system) [3]
효율적인 저전력 지능 통신 시스템 설계에 대한 주요 요소에 대해 다룬다. - 141B06 스마트공장운영관리시스템(Smart-factory Operations Management System) [3]
스마트공장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 시스템의 기능과 역할, 도입 및 활용 방안 등에 대해 학습한다. - 141B38 지능형에너지관리시스템운영설계특론(Factory-EMS Design for Smart Factory Application) [3]
스마트공장을 위한 능동적 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이해 및 설계
논문연구
- 181801 석사논문연구(Thesis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2]
- 181901 박사논문연구 1(Thesis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1) [2]
- 181902 박사논문연구 2(Thesis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2) [2]